기타

'칼마르크스 자본론'간단 요약~

narzen 2024. 2. 2. 20:51
반응형

 

그가 자본론을 쓴 이유는 자본주의의 모순을 철저하게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래서 자본주의를 대표하는 아담스미스의 국부론을 수백번 읽었죠..

자본론에서 가장 많이 인용한 책이 바로 국부론이었습니다.

 

드디어 1867년 그가 15년 이상을 바친 필생의 역작이 그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바로 자본론 제1권 '제본의 생산과정'입니다.

 

자본론은 마르크스의 유물론적 변증론을 정제연구에 최초로 적용해서 자본주의 문제점을 분석한 책입니다.

 

자본론에서 제일 먼저 다룰것은 상품입니다.

상품은 인간이 생산하고 사용하는 모든 물건을 말합니다.

쓸모가 있는지를 말하는 사용가치

교환할 수 있는지를 따지는 교환가치

상품은 이 사용가치와 교환가지 둘다를 가지고 있다고 정의했습니다.

상품 = 교환가치 + 사용가치

 

그리고 이러한 상품은 노동을 통해 생산해 내는 것이라 주장했습니다.

그러므로 상품의 가치는 상품을 생산하는 들어가는 평균 노동시간으로 결정된다고 정의했습니다.

상품가치 = 상품생산에 들어간 평균 노동시간

 

그가 자본을 쓴 주요목적은 왜 쉬지 않고 열심히 일하는 노동자들은 항상가난할까?

반대로 놀고 먹는 자본가들은 왜 점점 부자가 될까 

하는 의문을 풀기 위해서 였습니다. 

 

마침내 그는 그 해답을 이윤이 어디에서 나오는 지 알아냄으로써 찾아 낼수 있었죠

 

마르크스는 노동시간의 연장에서 생기는 잉여가치를 절대적 잉여가치라고 정의했습니다.

하지만 자본가는 만족하지 못하고 더 많은 이윤을 얻으려 합니다.

그래서 생각한 게 노동생산성을 높이는 것

예를 들어))

노동자가 직접 손으로 빵을 만들 때 필요노동시간은 3시간

하지만 기계를 이용해서 빵을 만들면 같은 갯수의 빵을 만드는데 1시간

이는 곧 필요노동시간은 줄어 들고 잉여노동시간은 증가합니다

노동자의 임금은 날로 싸지고 자본가는 그만큼 이윤을 남기게 되는 것입니다

마르크스는 이렇게 생긴이윤을 상대적 잉여가치라 했습니다. 

 

마르크스는 더 많은 이윤을 얻으려하는 자본가의 이기심때문에 기계가 계속 노동을 대신하면 실업자가 증가한다고 했습니다.

그럼 일하려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임금은 더 낮아지고 이렇게 되면 상품 더 쏟아져 나오지만 팔리지 않으니 기업자 자본가도 망하게 될거다 이렇게 주장했습니다.

결국 자본주의의 위기인 공황이 시작되고 참다못한 노동자들이 혁명을 일으킬 것이라 했습니다

마르크스의 경고는 자본주의가 무너지고 사회주의가 나타날 것이라는 것

 

1883년 3월 14일 마르크스는 앵겔스가 지켜보는 가운데 자신이 가장 아끼던 의자에서 삶을 마감했습니다.

그의 사후 앵겔스는 마르크의 유고를 모아서 1885년 자본론 제2권 자본의 유통과정을 

1894년 제3권 자본주의적 생산의 총과정을 발간했습니다. 

그리고 자본론은 사회주의의 성서로 불리우며 성서보다 더 많이 팔린 책이라는 명예를 얻기 됩니다

또한 한세기가 흐른 뒤에 마르크의 사상은 래닌을 비롯한 혁명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반응형